유네스코(한국유산)/경주역사지구 답사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15) : 남산지구 서남산(IV)

Que sais 2021. 11. 2. 12:58

<1,500평 되는 창고>

포석정과 지마왕릉 사이로 산행도로가 있는데 이곳에서 주 배리윤을곡마애불좌상(拜里潤乙谷磨崖佛坐像, 지방유형문화재 제195)남산신성답사할 수 있다. 이들은 창림사지3층석탑에서도 접근이 가능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이곳에서는 포석정과 지마왕릉 중간의 산행도로를 취한다. 산행도로는 매우 잘 정돈되어 있어 오히려 산행하는 맛이 나지 않는다고 불평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런 불평도 잠시 좌측으로 조그마한 못이 나온다. 특징적이지 않은 조그마한 못인데 굳이 보아야 할 이유가 있느냐 질문하지만 이곳이 바로 포석정물을 공급했던 안골샘못. 못 자체는 크지 않지만 포석정과 연계하면 신라의 마지막을 장식하던 곳이므로 조용한 모습이 오히려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다.

이곳에서 계속 다소 지루한 길을 걸으면 좌측으로 배리윤을곡마애불좌상이 있다는 안내판이 나온다. 자로 꺾어진 바위 면에 불좌상 삼존돋을새김한 매우 특이한 마애불인데 다소 큰 동남향의 바위 면에 2존의 불상을 새겼고, 보다 작은 서남향의 바위 면에 1존의 불상을 각각 새겨 삼불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불형식은 존상의 구성에 따라 삼세불, 삼신불 등 여러 경우가 있지만 초기에는 삼세불보편적이다. 가운데 불상의 좌측면에 태화9년을묘(太和九年乙卯)라는 음각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 이 불상이 흥덕왕(興德王) 10(835)에 조성된 것임이 밝혀졌다.

배리윤을곡마애불좌상

중앙의 본존불연꽃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상으로 상투형태의 육계(肉髻)가 머리에 비하여 유난히 높고 큼직하다. 얼굴은 긴 타원형으로, 을 각진 것처럼 표현하여 다소 완강한 느낌을 주지만, 을 가늘게 뜨고 입에는 미소를 띠어 부드럽게 처리하였는데 현세의 석가불로 추정한다. 우측 불상은 본존불보다 조금 작고 다소 위축되었는데, 얼굴이 길고 턱을 역시 각지게 표현하여 완강한 인상을 주지만, 얼굴에는 양감이 있고 미소를 띠고 있어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왼손에 보주(藥器)를 들고 있어 약사불로 추정하기도 한다. 좌측 불상은 세 불상 가운데 조각 솜씨가 가장 떨어진다.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세부를 마무리하지 않고 턱이나 윤곽 등을 선각(線刻)으로 그은 채 그대로 두어 전체적인 인상은 강렬하지 않다. 835에 조성된 것으로 구도와 비례, 형태, 양감,  등에서 8세기 불상과 9세기 후반 불상의 특징을 함께 지니고 있는데다 삼불형식마애불로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불상 삼존으로 구성된 삼불형식통일신라 이전의 작품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강우방 박사는 이 불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

 

제작연대는 835년으로 신라예술사에서 모든 규범이 해체되고 양식이 흐트러지기 전에 만들어 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무규범적인 불상이 제작된 것은 이것을 만든 사람이 민중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신라의 왕경인 경주 중심부에서 이런 불상이 나왔다는 것 자체가 민중이 역사의 전면에 나섰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남산의 불교유적불국사처럼 왕이 직접 나선 대역사는 아니다. 그러므로 남산의 불교 관련 유적들이 다른 지역의 것들과 비교해 볼 때 민중적인 성격이 강한 이유로도 설명될 수 있는데 배리에 있는 삼존석불입상도 같은 설명이 가능하다.

이곳에서 계속 다리품을 팔면 남산의 산꼭대기를 중심으로 쌓은 석성(石城)경주 남산신성(慶州南山新城, 사적 제22)을 찾을 수 있다. 국가마다 방어용 성이 있는데 신라를 지키던 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이 남산신성이다.

남산신성이라는 명칭은 1935년 이래 발견된 신라남산신성비 삼국사기 등에서 보인다. 이들 기록에 의하면 진평왕 13(591)에 축조되었고, 문무왕 3(663) 남산신성에 큰 창고란 뜻의 장창(長倉)을 세웠다. 진평왕 때고구려와 백제의 급박한 침입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며 문무왕 19(679)때는 당나라의 침공에 도성을 수비하기 위한 요새로 성을 크게 수축한 것이다. 지금 남아 있는 성벽의 부분은 거의가 이 때 쌓은 것으로 추측된다.

남산신성신라의 왕궁월성에서 잘 보일 정도로 중요한 요충지라 볼 수 있는데 1999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측량에 의하면 총 면적은 약 7.08, 성곽길이 4.85km로 매우 큰 산성이다.

봉화대를 비롯하여 대부분 멸실된데다 드문드문 흔적만 보이고 잘 보존된 구역도 몇 미터에 지나지 않지만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은 곳을 보면 가로 50, 세로 20 정도의 잘 다듬은 돌로 쌓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파손된 석축 여기저기에서 석축을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한 동틀돌(돌못)이 보인다. 이들 돌못불국사, 석굴암, 동궁과월지 등에서도 보인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남산신성을 쌓을 때 사용한 석재들이 여기저기 산재한 많은 무덤의 석물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간판 유산으로 똘똘 뭉친 경주지역에서조차 이런 문화재 훼손이 자행되었음을 볼 때 이를 시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정말로 없는지 궁금하다.

남산신성

창고용으로 사용되던 장창 3으로 북문터에 중창지, 동쪽에 우창지, 서쪽에 좌창지가 있었는데 쌀과 무기를 저장했던 곳이다. 놀라운 것은 창고의 규모. 좌우창지는 길이 약 50미터, 너비 약 15미터의 건물이고 중창은 길이가 약 100미터, 너비는 약 50미터나 되는 어마어마하게 큰 건물이다. 세 창고는 모두 밑으로 바람이 통하는 다락식 건물인데 화려한 꽃무늬 기와가 얹혀 있었다.

신라시대에 단일 건물로 1,500이나 되는 창고 건물이 있었다는데 놀랄 것이다.

우 창지창 등 무기를 보관하던 병기창고였고 중창고군량미를 보관하던 곡식창고인데 지금도 불에 탄 쌀이 발견된다. 혜공왕 2(767) 대공(大恭)의 난 때 불 탄 것으로 경주남산지킴이 유정숙 회장은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당시의 쌀을 골라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당시 저장된 군량이 엄청났음을 알 수 있는데 신라가 이곳에 풍부한 군량을 저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적군들이 놀라 감히 도전할 염두도 못내었다는 전설도 있다. 사실 풍부한 군량미를 갖고 있다는 것처럼 장병들의 사기를 올려주는 것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장창지(탄화곡식)

1934년부터 1994까지 성 부근에서 남산성 안에 세워졌으리라 추측되는 남산신성비가 모두 9개가 발견되었는데 발견 순서에 따라 남산신성 제1에서 9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남산신성비

1비와 제9완형이나 2·3상하 2으로 절단되었고, 4·5·6·7·8단편으로 발견되었다. 형태와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자연판석각자(刻字)할 부분만 약간 마연해 비문을 새기고 밑에는 공간을 남겨두어 땅에 묻어서 설 수 있게 하였다. 크기는 높이 80에서 120, 최대너비는 23에서 47이다. 비문고졸(古拙)서체로 음각했고, 행수(行數)와 각 행의 자수(字數)는 일정하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비에 적힌 글로 남산신성을 쌓기 위해 전국의 사람들이 모여 일정한 길이의 성벽을 맡아 쌓았으며, 만일 성벽 3년 안에 무너지면 천벌을 받을 것이라는 맹세가 새겨져 있다. 한마디로 성을 쌓는데 동원된 모든 사람들이 이런 서약서에 서명해야 했다는 뜻이다. 참여인원들은 대체로 세 부류로 구성되었다.

 

 도사(道使나두(邏頭) :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들로 이들은 주로 국가의 명령을 지방민에게 전달하고, 축성작업에 대하여 총책임을 진다.

 촌주(村主장척(匠尺문척(文尺) : 지방관의 명령을 받아 직접 노동력을 동원하고, 또 축성작업을 실제로 일선에서 지휘, 감독한다.

 인력동원의 지역적 범위로 현재의 함안(咸安의령(宜寧의성(義城상주(尙州옥천(沃川선산(善山영풍(榮豊) 등에 걸쳐 있다. 각 비석에 일정지역이 밀집되어 있어 축성작업이 각 지역별로 분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소 딱딱한 내용이기는 하지만 이들 비는 신라 중고기 지방통치 체제 노동자들의 동원 체제 그리고 지방민의 신분 구성촌락민의 생활상을 알려주어 삼국시대의 중요한 금석문으로서의 가치를 부여받고 있다.

남산신성 답사의 어려움은 일반적인 정보만으로 남산신성 현장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수풀이 우거진 여름철의 경우 더욱 그러한데 남산성에 관한 한 전문가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받아 도전하든가 그렇지 않으면 안내자의 도움을 받기 바란다.

더불어 남산신성은 매우 큰 산성이므로 정확한 자료를 갖고 빠른 발걸음으로 답사한다하더라도 포석정 입구에서 남산신성의 유적의 핵심이라 볼 수 있는 장창지까지 갔다가 되돌아 나오는데 최소한 56시간 즉 낮 시간이 짧은 계절의 경우 하루를 할애해야 한다는 점이다. 답사 여정에 참조하기 바란다.

 

참고문헌 :

첨단 과학 기법이 적용된 포석정, 이종호, 국정브리핑, 2004.10.25

신라 천년의 역사가 태동한 세 곳, 정만진, 한겨레, 2012.10.22.

경주남산신성비(慶州南山新城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Contribution a L'etude de la Convection naturelle thermique en regime Laminaire transitoire dans un recipient cylindri vertical partiellement rempli d'un fluide Newtonien. Jong Ho Lee, Universite de Perpignan, 30.Oct.1984

Theoretical study of the natural conventions flows in a partially filled Vertical cylinder subjected to a constant wall temperature, Lee JongHo, 2nd ASME-JSME Thermal Engineering joint conference(Honolulu Hawaii), 2227 March, 1987

카오스를 담은 포석정, 오혜영, 사이언스타임스, 2006.05.01

경주남산(1), 윤경렬, 대원사, 1991

신라 과학기술의 비밀, 함인영, 삶과꿈, 1998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이덕일 외, 김영사, 1999

현대과학으로 다시 보는 한국의 유산 21가지, 이종호, 새로운사람들, 1999

답사여행의길잡이(2) 경주,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베개, 2001

사원건축, 신영훈, 대원사, 2002

전통속의 첨단 공학기술, 남문현 외, 김영사, 2002

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경주문화권, 국민대학교국사학과, 역사공간, 2006

과학삼국유사, 이종호, 동아시아,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