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노벨상이 만든 세상/살충제(DDT) 4

지킬 박사와 하이드의 물질, 살충제 DDT(4)

youtu.be/gH2N1qyQFeA 레이첼 카슨의 강타는 물론 고엽제의 피해는 DDT에 결정적인 사망선고를 내렸지만 학자들은 DDT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학자들의 노고는 화학물질이 어떻게 인간과 생태계를 공격하는 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는데 레이첼 카슨이 사망한지 30여 년이 지나서 보다 강력한 구원군을 맞이했다. 1996년 테오 콜본(Theo Colborn) 등은 『도둑맞은 미래 Our stolen Future』에서 화학물질이 구체적으로 인간과 생태계를 공격하는 경로를 정확하게 묘사했다. 뒤이어 1997년 일본 NHK-TV 과학프로그램은 환경오염 물질이 체내로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는 의미에서 ‘환경호르몬’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최근에는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

지킬 박사와 하이드의 물질, 살충제 DDT(3)

youtu.be/zDnp8qSNIqk DDT에 치명타를 안긴 것은 환경재앙을 경고한 해양생물학자이자 작가인 레이첼 카슨(Rachel Louise Carson, 1907~1964)이 1962년에 발간한 『침묵의 봄(Silent Spring)』이다. 그녀는 인간이 무심코 사용해온 살충제와 같은 화학약품이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고 고발했다. 뿐만 아니라 사람과 동물의 몸에 쌓여 각종 질병을 일으키고 어미의 모유를 통해 2세에까지 전달된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했다. 이 단원은 송성수 박사의 글에서 많이 참조했다. 카슨은 1907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스프링데일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음악과 독서를 좋아했으며 고등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그녀는 1925년에 장학금을 받고 펜실베이니아여자대학교(케이텀 칼리지로..

지킬 박사와 하이드의 물질, 살충제 DDT(2)

youtu.be/KX-JSQeK4tY 프랭크 다라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1994년에 출시된 「쇼생크 탈출」은 여러 가지 기록을 세운 영화로 유명하다. 우선 영화 자체는 처음 개봉될 때 흥행에서 별로 성공을 하지 못했다. 평론가들의 반응은 나쁘지 않았지만 개봉 초기에 벌어들인 1,800만 달러는 제작비도 건지지 못했다. 다행히 1995년 작품상을 포함한 아카데미 7개 부분(작품상, 남우주연상, 각색상, 촬영상, 편집상, 작곡상, 음향상)의 후보가 되었고 1995년 골든 글로브 2개 부문(남우주연상, 각색상)의 후보가 되었지만 수상하지 못했고 1995년 제 19회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을 뿐이지만 이와 같이 후보작이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시청자들의 흥미를 끌어 다소 적자를 만회할 수 있었..

지킬 박사와 하이드의 물질, 살충제 DDT(1)

youtu.be/AqS0KRTmxY0 노벨상 수상자로서 명암이 극단적으로 바뀐 사람은 1948년도 노벨 생리ㆍ의학상을 수상한 스위스의 파울 헤르만 뮐러(Paul Hermann Müller, 1899〜1965)일 것이다. 그는 식량 문제에 악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병원균의 전염에도 관계있는 해충을 박멸하는 DDT를 발명하여 ‘인류의 천사’라는 말까지 들었다. 살충제의 유용성은 말할 필요도 없다. 벌레를 없애기 위해 유황을 태워서 집과 창고를 소독하고 비소를 이용하여 쥐를 독살하며 잡초를 제거하는 것은 고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방법이었다. 그러나 화학적 합성 살충제인 DDT가 개발되자 살충제의 효과는 상상을 초래할 수 없을 정도로 증진되었다.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