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한국유산)/창덕궁(덤 창경궁) 답사

한국의 궁궐 : 창경궁(2)

Que sais 2021. 6. 28. 09:47

https://youtu.be/dihyVt1ANHs

창경궁 복원도

 홍화문(弘化門, 보물 384)

홍화문은 창경궁의 정문이다. 담장 좌우에 십자각을 두었으며, 다른 궁궐의 정문과는 달리 동향을 하고 있다. 성종 15(1484)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중에 불에 탄 뒤 광해군 8(1616)에 중건된 것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3, 측면 2칸이며, 다포계 우진각 지붕이다. 홍화문의 우측에 있는 계단으로 이층의 ()로 올라갈 수 있는데, 영조 25(1749) 임금이 세자와 함께 홍화문의 루에 올라가 빈민을 구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홍화문(弘化門)창경궁의 정문이다. 보물 제384인 이 문은 다른 궁궐의 정문이 남향인 것과는 달리 동향을 하고 있다. 홍화문은 성종 15(1484)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광해군 8(1616)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3, 측면 2칸이며, 다포계 우진각 지붕으로 왼쪽의 계단을 통해 2층 다락으로 오를 수 있다.

이 문은 궁궐의 정문이 갖는 웅장함이나 화려함보다는 반듯하고 아담한 모습으로 위엄을 갖추고 있다. 홍화문의 참 맛을 보려면 명정문 또는 명정전 앞에서 뒤돌아보는 것으로, 정면 코앞에서 올려다보는 것과 다른 당당하고 힘있는 상승감을 느낄 수 있다. 홍화문 좌우로 이어진 담장에는 행랑과 연결돼 꺾이는 부분에 십자각이 있다. 이것은 궁을 지키는 망루 역할을 하던 곳으로 경복궁 동·서 십자각의 변형된 형태다. 영조는 균역법을 정할 때 홍화문 밖에서 시전 상인들을 모아 의견을 들었고 빈민들을 구휼했다는 기록이 있다.

 

흥화문

홍화문 남북으로는 홍화문처럼 동향한 두 개의 문이 있다. 북쪽의 국립서울과학관 근처의 월근문(月覲門)과 남쪽의 선인문(宣仁門)이다. 월근문(月覲門)은 정조 3(1779)에 세워졌으며 문 자체의 규모가 웅장하거나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정조가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사당인 경모궁(景慕宮)을 짓고, 이 문을 통해 한 달에 한 번 참배를 다녔다는 사연이 있는 곳이다. 경모궁은 사당이라기보다는 궁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매우 큰 건물로 경모궁 자리가 바로 현재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다.

남쪽의 선인문(宣仁門)은 창경궁 창건 당시 세워진 문으로,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고종 14(1877)에 중건되어 오늘에 이른다. 옛 이름은 서린문(瑞燐門)인데, 주로 관원들이 궐내각사로 출입하던 문이자 동궁의 정문이기도 했다. 중종반정(1506) 연산군이 이 문으로 쫓겨나갔으며, 선인문 안쪽 공간은 과거 왕세자가 머물던 동궁 영역이다.

조선시대에 왕이 백성을 만나는 일은 흔치 않았다. 그런데 영조는 홍화문 앞에서 균역법에 대한 찬반 여부를 백성에게 직접 물었다.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회갑을 기념하여 백성에게 손수 이곳에서 을 나누어 주었다.

 

 옥천교(보물 제386)

홍화문을 들어서면 바로 금천이 흐르고 그 위로 옥천교(玉川橋)가 있다.

 

옥천교

성종 14(1483)에 만들어진 옥천교는 창경궁에서 가장 오래된 건조물이다. 두 개의 홍예로 이루어졌으며 두 홍예 사이의 공간에 귀면을 조각해 넣고 다리 위에는 아름다운 돌난간을 설치한 뛰어난 석조 미술품으로 다리의 돌난간 양쪽 기둥 위에 앉아 있는 돌짐승의 모습은 소박하고 정겹다. 옥천교의 또 다른 매력이라면 서울에 남아 있는 여느 궁궐과 달리 가뭄이 아주 심하지 않으면 금천의 물이 흐른다는 점이다. 즉 북쪽의 춘당지에서 나온 물이 옥천교를 거쳐 늘 남쪽으로 흐른다. 창덕궁의 금천교, 경복궁의 영제교와 더불어 대표적인 궁궐의 돌다리로 꼽히는 옥천교는 보물 제386.

 

<외전>

명정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정전인 명정전이 있고 그 앞에는 자연석을 깐 넓은 마당이 있으며, 가운데 좌우로 품계석(品階石)이 놓여 있어 사방이 행랑으로 둘러싸여 있다.

 

명정문(明政門, 보물 385)

 

명전문과 옥천교

명정문은 홍화문에서 옥천교를 건너 명전전으로 이르는 중문이다. 광해군 8(1616)에 중건되었으며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의 단층 건물로 겹처마 팔작지붕 구조에, 건물 양쪽은 행각(行閣)으로 이어져 있다. 행각의 남쪽에는 광정문(光政門), 북쪽에는 영청문(永淸門)이 있다. 특이한 점은 명정문의 중심축이 명정전의 동서 중심축선상에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남쪽으로 약 1.2미터 벗어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명정전을 둘러싼 행각과 조정마당이 정확한 방형을 이루고 있지 않다. 옥천교에 서서 명정전 중심축선을 바라보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중심축을 일치시키지 않은 것은 인위적으로 중심축을 만들었을 때 느끼는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만든 배려라고 설명되며 명정문과 둘레의 행각보물 제385. 지금의 행각은 일제강점기에 창경원을 조성하면서 없앴던 것을 1986년에 복원한 것이다.

 

 명전전(국보 226)

홍화문, 옥천교, 명정문을 거치면 국보 제238호 명전전이 나온다.

품계석이 세워진 조정 즉 외전을 지나면 바로 보이는 건물이 창경궁의 법전인 명정전(明政殿)이다. 명정전은 창경궁의 법전(法殿)으로 궁궐 내에 으뜸가는 전각이므로 명정전을 중심으로 명정전 앞 조정(朝廷)에서는 즉위식, 조하의식, 과거시험, 각종 궁중연회 등이 베풀어지기도 했으며, 그 광경은 현재까지 남아 전하고 있는 여러 궁중기록화를 통해 알 수 있다.

명정전 성종 14(1483)에 창건되어 현재 남아 있는 궁궐의 법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불타 없어진 것을 광해군 8(1616)중건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명정전은 두 단의 월대 위에 정면 5, 측면 3칸 규모의 단층으로 지어졌다. 조선시대 궁궐의 다른 법전 전각, 경복궁의 근정전과 창덕궁의 인정전중층구조의 웅장하고 권위적인 규모를 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는 성종 때의 대대적인 확장이 대비전의 세 어른을 위한 것이었음에서 알 수 있듯이, 외전보다 내전이 발달한 연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명정전은 중심방향이 동향으로 궁궐의 배치로는 특이하다. 정전인 명정전 영역만 중심축 선상에 위치하며 기타 침전 영역생활 공간의 건물들은 각각의 축을 가지며 남향이다. 광해군 때 중건하면서 좌향 문제로 논란이 많았으나 정무 영역은 기존의 상징적 좌향을 고수하되 기타 영역은 남향으로 귀착되었다. 창건 당시 성종은 '왕은 남쪽을 바라보고 정치를 하는데 명정전은 동쪽이니 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정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역사적으로는 인종이 명정전에서 즉위하였다.

 

명전전

명정전은 사방이 행각과 월랑(月廊, 행랑)으로 둘러 조정을 마련하고 마당에는 장방형으로 다듬은 판석(板石)을 깐 다음 한복판에 어도(御道)를 만들었다. 어도의 좌우에는 24개의 품계석(品階石)을 배열하여 정전 외부공간에 위계적 질서를 부여하였다.

명정전은 궁궐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으므로 공포 구성이나 가구에서 비교적 오래된 법식과 기법을 지니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15칸 건물로 근정전 25, 인정전 20칸에 비해 작다. 단층 합각지붕으로 다포계 구조이며 2.5미터 높이의 월대는 상하 2단의 구조인데 5미터 너비의 돌계단에는 4마리의 돌짐승을 배치하였고 가운데 계단에는 봉황을 새겨넣은 답도를 배치했다. 월대의 양쪽에는 '드므'가 놓여져 법전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해준다.

전내(殿內)로 들어서면 더욱 구식임을 알 수 있다. 평면 구조는 앞에서 둘째 기둥의 줄에 고주(高柱)를 한 줄로 배열했고, 대량(大樑)은 이 고주에 맞끼워 연결하였다. 대량 위에는 중종량(中宗樑)과 종량(宗樑) 3중으로 배치되었다. 내부 깊이가 좁은 단점을 뒤쪽에 툇간을 덧붙여 보완했는데 이는 후대에 부설한 것이다. 명정전 4면 기둥 사이에 모두 문비(門扉)와 상부의 광창(光窓)을 달았으나, 전면과 측면의 좌우 구석 칸만은 문비 아래에 벽돌로 쌓은 낮은 벽체(壁體)가 있다. 마당에 깔아놓은 박석도 예전의 모습이 아니라 근래에 깔아놓은 것이다. 배면(背面)에 차양처럼 회랑을 부설한 것은 명정전의 특징이다.

천장은 우물천장인데 한가운데를 한층 접어 올려서 황금색으로 장식된 쌍봉(雙鳳)으로 장식한 보개천정(寶蓋天井)을 만들었다. 바깥쪽으로는 한 단 낮게 소란반자를 두른 층단천장(層段天障)으로 되어 있으며, 그 바깥쪽에는 견실하게 짠 공포를 장식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드러내어 천장의 일부를 구성하게 하였다. 보좌(寶座)는 후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주위 바닥에는 벽돌을 깔아 왕실의 성소임을 알려준다. 운간(雲間)에 봉황이 나래를 펴고 날고 있으며 어좌에도 같은 귀접이천장이 있고 나무 조각을 따로 해서 채색한 후 장식한 봉황이 날아다니는 등 뛰어난 목각 솜씨를 보인다.

명정전은 사면의 문이 꽃창살로 장식돼 있고 지붕 위에는 마루를 높게 양성하고 용마루에는 취두(鷲頭), 합각 내림마루에는 용두(龍頭), 추녀마루에는 잡상(雜像)과 선인을 각각 배열하여 건물에 위엄을 더했다. 처마 밑에는 3출목(外三出目4출목다포집계 공포를 받쳤는데, 쇠서의 곡선은 비교적 곧고, 봇머리 등의 형태는 3각형을 이루어 조선시대 건축의 세부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창경궁 명정전은 현재 남아있는 다른 궁궐의 법전 양식과는 달리 창호의 아랫부분을 전벽돌로 쌓아 올린 점이 특이하다. 궁궐지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이곳 명정전에서 인종(1544)이 면복을 갖추고 즉위하여 하례를 받았으며, 명정전이란 전각 명칭은 창건 당시 의정부 좌찬성 서거정이 지었다. 1820년대에 그려진 동궐도에 나타난 명정전 조정의 모습에는 어도만 있고 품계석이 없었다. 규모가 다소 작고 고전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명전전 1963년에 실시된 수리 때 합각 부분에서 1616에 중건했다는 묵서명이 발견되어 궁궐 정전 건축으로 가장 오래되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