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그래?(한국불가사의) 95

네안데르탈인(27) : 연대측정(2)

youtu.be/UqLek5W1KuI 〈방사선의 손상에 의한 측정법〉 유적의 발굴 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의 흔적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인간이 만들어 놓은 문명의 발자취를 찾는 것인데 C14 탄소연대측정법, 연륜연대측정법, 화학반응을 이용한 타조알 측정 등은 일단 살아있던 동식물의 잔해가 발견될 경우에는 유용한 측정법이지만 이러한 유기물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려면 매우 특별한 환경이 아니면 불가능하다. 결국 유기물의 존재가 없더라도 인간의 흔적을 갖고 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방사선의 손상에 의해 시료를 측정하는 것이다. 방사선이 물질에 닿으면 그 물질에 어떤 흠집을 남긴다. 그런 흠집은 연대측정뿐만 아니라 방사선의 계측에도..

네안데르탈인(26) : 연대측정(1)

youtu.be/nNZOHYv4CBo 〈살아있던 흔적 측정〉 고인류에 대해 다루려면 몇 백 만년은 보통으로 나오는데 많은 사람들이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은 발표되는 연대가 정말로 맞느냐이다. 사실 인간의 역사는 고문서나 유물 유적과 같은 자료들을 연구함으로써 밝혀진다. 그러나 인간이 글자를 사용한 것은 그 절대 연도가 겨우 몇 천 년에 지나지 않는다. 더불어 제작 연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표시를 해둔 것도 많지 않아 그 자료들이 언제 제작된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된다. 고대 유물이 언제 제작되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베일에 가려져 있는 고대사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건이 된다. 학자들은 고대에 살던 생명체이든 이들이 만든 유물의 정확한 연대를 측정할 수 ..

네안데르탈인(25) : 호모 에렉투스(5)

youtu.be/37ji8ujGmpU 자바 섬의 호모에렉투스가 11만 년 전에 기후변화로 사라졌다고 설명되는데 호모에렉투스는 고인류 중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전 세계 각 지역에서 살았던 종이다. 그렇다면 다른 곳에 있었던 호모에렉투스가 왜 사라졌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한 연구는 여러 곳에서 진행되었는데 특히 동남아시아의 경우 호주 그리피스대의 줄리언 루이스(Julien Louys) 박사는 약 10만 년 전 초원이 열대우림으로 바뀌면서 거대 동물을 비롯한 고인류가 멸종했다고 발표했다. 한마디로 기후변화 때문이라는 뜻으로 이는 고대 동남아 포유류에 대한 안정 동위원소 분석을 기반으로 한 내용이다. 루이스 박사는 다음과 같이 격동의 시기를 설명한다. ‘초기 홍적세(Pleistocene) 때의 열대우..

네안데르탈인(24) : 호모 에렉투스(4)

youtu.be/CuEApZlpVmM 2001년, 카프카스(코카서스) 산맥의 남쪽인 그루지야의 드마니시라는 중세 마을 유적지에서 17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화석을 발견했다. 그런데 이 화석은 고인류학자들을 정말로 놀라게했다. 일반적으로 호모에렉투스는 100만 년 전 경에 아프리카를 출발했다고 추정하는데 그것보다 무려 75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출발한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들 두개골은 현생인류로 볼 수 있는 호미니드보다는 유인원에 가까웠다. 즉 이들은 두개골의 눈두덩뼈가 얇고 코가 작았으며, 뇌의 크기는 현생인류의 절반도 안 되는 것을 볼 때 침팬지를 닮은 호모하빌리스에 가까웠다. 180〜24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 살던 호모 하빌리스는 팔이 길고 다리가 짧아 도보로 이동한다는 것이..

네안데르탈인(23) : 호모 에렉투스(3)

youtu.be/twEq-JVsdFU 호모 에렉투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이들이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유럽이나 중국, 자바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이다. 이를 학자들은 호모 에렉투스가 엄청나게 모험심이 강했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그 진출 속도가 상상을 초래할 정도로 빨리 지구 전체로 퍼져나갔다는 점이다. 화석의 증거로만 설명한다면 에렉투스들이 아프리카에서 출발하자마자 곧바로 인도네시아의 자바에 도착했을 정도다. 자바원인은 1891년 네덜란드 군의관 드보아가 발견하여 이를 피테칸트로푸스라 이름지었다. 피테칸트로푸스는 직립원인으로 매우 작은 턱, 넓고 납작한 코, 큰 위턱과 매우 넓은 이빨 그리고 낮은 이마뼈를 갖고 있었다. 약 150센티미터의 키를 가진 자바인은 현대인이 걷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60..

네안데르탈인(22) : 호모 에렉투스(2)

youtu.be/gJ9lGBKI43Y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거의 500만 년 동안 세계를 지배하던 사람 종으로 이들은 많은 변종이 있었는데 모두 곧바로 서서 걸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100만 년을 훨씬 넘도록 존재했던 종도 있었지만 수십만 년 정도로 짧게 생존했던 종도 있었다. 그러나 가장 성공 못한 종이라도 현재의 현생인류보다는 훨씬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호모사피언스로 불렸던 네안데르탈인과 호모사피언스사피언스로 불린 크로마뇽인의 연한을 약 20만 년으로 비정한다면 더욱 그렇다. 이 말은 많은 학자들이 환호한 루시 등이 곧바로 현대인류로 진화한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약 300만 년 전에 태어난 루시 류가 여러 종으로 갈라져 한 동안 경쟁하며 살았다는 뜻이다. 물론 이들 가지에..

네안데르탈인(21) : 호모 에렉투스(1)

youtu.be/hEC_p1GSS2k 고인류 연구가 매우 어렵지만 학자들의 눈물겨운 노력에 의해 서서이 베일을 벗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동안 설명되는 고인류에 대해 여기서 정리하여 설명한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2300만 년 전에서 500만 년 전을 설명하는 신생대에서 두 번째로 긴 마이오세는 우리의 선조 이야기가 비로소 나타나는 시대다. 이 시대의 지구 기후는 끊임없이 요동쳐 남극의 빙하가 완전히 자리 잡았고 중위도 지방에서는 기후의 한냉화와 건조화가 최고조에 이르러 사바나 초원이 형성되었다. 지구의 표면도 바뀌어 대륙이 충돌하고 대양이 바닥을 드러낸 곳이 많으며 대륙 사이에 연결통로가 이어졌다가 끊어지기도 했다. 마침내 해양과 육상의 동물상이 오늘날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해 현존하는 모든 동식..

네안데르탈인(20) : 성선택(4)

youtu.be/aTCDpz2KK44 과거의 인류학은 주로 화석의 형태 등을 분석하는데 집중되었다. 그러나 현대의 과학기술은 DNA라는 무기를 갖고 도전하므로 보다 확실한 인류사를 밝힐 수 있다. 유전자 분야가 획기적으로 발전하자 학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것은 인간이 직립하며 지혜를 갖추고 ‘만물의 영장’으로 진화하기까지에는 수많은 유전적 변이가 작용했을 것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수많은 유전자 중에서도 지배적인 유전자가 무엇이냐이다. 과학자들의 발표는 놀랍다. 인간과 유인원을 구분지은 것은 한 개의 유전자인데 이 유전자는 약 250만~300만 년 전에 인간에게서 사라졌다는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대학의 아짓 바르키(Ajit Varki) 박사는 200만〜300만 년 전, 한 단일유전자의..

네안데르탈인(19) : 성선택(3)

youtu.be/Wu8tY7-7isY 다윈은 수많은 동물을 비교하여 자신의 성선택설을 전개했다. 인간을 포함하여 말, 개, 양 등 포유류, 조류, 어류, 곤충류를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그의 책이 발간되었을 때 방대한 량에 학자들이 놀란 것도 무리가 아니다. 그러므로 학자들에 따라 다윈의 진정한 역작은 『종의 기원』이 아니라 이 책이 발간된 지 12년 후인 1871년에 발간된 『인간의 유래와 성 선택』이라고 말한다. 다윈의 성선택 사례를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공작의 예만 들어도 충분하다. 공작의 꼬리는 짝 고르기를 통한 성 선택의 전형적인 예로 제시되는데 결론은 공작 암컷이 크고 화려한 꼬리를 가진 수컷을 좋아했기 때문에 수컷이 암컷의 눈높이에 맞춰 꼬리를 진화시켰다는 것이다. 그런데 생존을 위해서라면 짧고 ..

네안데르탈인(18) : 성선택(2)

youtu.be/n2ZvA4rIfbA 다윈은 동물들은 보통 성선택의 유능한 행위자 역할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는 점에 착안했다. 대부분의 동물들이 어미와 아비로부터 절반씩의 유전자를 물려받는 다. 이는 짝의 유전자 질이 평균적으로 자기 새끼의 유전자 질의 절반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짝 고르기 즉 성선택은 훌륭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 짝을 더 잘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성선택의 이런 인센티브 때문에 대부분의 동물들은 섹스에서 차별주의자가 된다. 즉 어떤 구혼자는 받아들이고 어떤 구혼자는 거부하는 것이다. 그런데 다윈이 동시대인들을 놀라게 한 것은 성선택에서 수컷이 암컷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암컷이 수컷을 골랐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동시대인에게 충격을 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