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그래?(한국불가사의) 95

한국(동이)과 중국(화이)(15) : 각배와 각궁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z7ixRJsG7Sg 18. 철제갑주(鐵製甲冑)와 승마용마갑(乘馬用馬甲) 기마민족이 마구를 중요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경주의 천마총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안장틀이 4점, 안장깔개 1점, 등자 5개,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 3 점 등이 발견되었다. 안장틀에는 거북등무늬(龜甲文)로 구획된 투각 금동제 장식을 안장틀(磯) 상부에 붙이고 그 아래(海)에 띠고리(버클)을 좌우로 한 개씩 붙여놓았다. 안장틀 안쪽에는 줄무늬를 넣어서 짠 비단이 발라져 있어 왕의 안장답게 호화롭다. 안장틀 앞가리개 표면에 붙여진 금동 투각 금구 모든 면에 금제 달개를 달았다. 이들 안장들은 당시의 중국제 안장과 비교해보면 기본적으로 다르다. 신라 것에는 북..

한국(동이)과 중국(화이)(14) : 상투와 개마무사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eLNAATslKdE 16. 상투(옥고) 홍산문화에서 학자들을 놀라게하는 것은 적석총에서 상투 옥고(상투머리를 덮었던 옥으로 만든 머리덮개)가 계속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홍산 문화에서 발견되는 상투옥고는 약간 변형된 원통형으로 하부와 상부가 뚫어져 있는데 무덤 주인의 머리에 놓여져 있다. 상투 옥고는 중국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한마디로 상투 즉 머리를 틀어 올리는 관습은 한민족의 고유한 머리양식이기 때문이다. 즉 홍산문화 유적에서 발굴된 상투 머리를 덮은 옥고와 같은 유물은 중국 황하문명에는 없지만 이후 고조선 시대 이래 한반도와 만주에서 널리 사용한 모자 양식이며 멀리 고구려와 백제, 신라 금관 안에 쓰는 속관 형태로 이어진다. 당대의..

한국(동이)과 중국(화이)(13) : 편두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tdScZ12F1xI 15. 편두 1976년에 발견되어 모두 4차에 걸쳐 180여 기의 무덤이 발굴된 4세기경의 김해 예안리 고분군은 분묘의 규모로 보아 최상위 계층이 아닌 일반 서민 계층의 공동묘지로 추정된다. 예안리는 현재 낙동강 삼각주의 북부에 해당하지만 옛날 지형으로 보면 고김해만(古金海灣)의 하부에 속하는 지역으로 190여 평의 좁은 면적에 상하로 4겹 정도 중복되어 있는데 거의 대부분의 무덤 속에 1구, 많게는 10여 구의 인골이 남아 있었다. 부장품인 1000여 점의 토기를 비롯해 총 2000여 점의 유물도 나왔다. 현재 부산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예안리 인골은 수적으로도 역사상 유례없는 일이지만 더욱 학자들의 눈길을 ..

한국(동이)과 중국(화이)(12) : 동복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JmvAtyV6lBY 14. 북방 기마민족의 상징 동복 홍산 문화 초기는 기온이 농사에 적합하였지만 후대 즉 하가점 상층문화 때부터 기후가 바뀌어 돼지가 발견되지 않고 양, 염소들이 발견된다. 이는 기후변화로 농경지가 광대한 초원지대로 바뀌었기 때문인데 이곳에서 기마생활을 기본으로 했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기마로 생업을 유지하던 기마민족에게는 자신들만의 특성과 생존법, 의식이 있기 마련이다.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말에 갖고 다니는 동복(銅鍑, cup cauldron)이다. 기원전 8〜7세기 무렵에 출현하여 기원후 5〜6세기 무렵에 소멸되는데 유목민족의 특성상 매우 넓은 지역에 걸쳐 발견되고 있다. 원래 동복은 유목민들의 상..

한국(동이)과 중국(화이)(11) : 치성(석성)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kUod9Ocy9hI 12. 치(雉)를 갖춘 석성(石城) 고구려는 중국과 한 치의 양보도 없이 혈투를 벌렸다. 인구가 적고 자원이 많지 않은 고구려가 자원이 많고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이와 같이 혈투를 벌일 수 있었다는 것은 나름대로 중국에 비견할 수 있는 노하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구려의 2대 전략이자 전술은 산성전투와 청야전투다. 고구려는 200여개소가 넘는 산성을 요충지에 건설했다. 그런데 고구려는 남다른 산성 축조 방법 즉 산성에 치성(雉城 또는 치) 또는 마면((馬面)을 기본으로 건설했다. 성벽을 직선으로 쌓으면 시각이 좁아 사각지대가 생기므로 성벽 바로 밑에서 접근하는 적을 놓칠 수 있고 공격할 때도 전면에서만 공격..

한국(동이)과 중국(화이)(10) : 비파형동검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ZRpN8ZAIfG0 11. 비파형동검 고인돌, 빗살무늬토기는 한민족의 특징으로 설명되는 비파형동검(요령식 동검)으로 더욱 힘을 받는다. 특히 비파형동검이 고인돌의 분포권과 유사하다는 점으로도 과거부터 한민족의 주목을 받았다. 서쪽은 요하를 지나 베이징 근처와 산둥지역, 북쪽은 네이멍구 남부지역과 북만주, 요동반도의 신금현 쌍방, 벽류하 23호, 개주시 패방촌 남단산, 한반도의 대전 비례동과 신대동, 여수 적량동, 여천 오림동과 봉계동, 고흥 운대리, 승주 우산리, 경북 김천 송죽리, 경남 창원 덕천리의 고인돌에서도 비파형동검과 동모 등의 청동무기가 출토되었다. 이는 비파형동검 등 청동기 문화가 빗살무늬토기, 고인돌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한국(동이)과 중국(화이)(9) : 고인돌별자리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0uLTQzs2hwU 10. 고인돌별자리(2) 고대 국가에서 지배자들이 가장 중요시했던 것 중의 하나는 천문 현상 관측이다. 천문 현상을 왕권의 존립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여겼기 때문이다. 중국의 역사에서 전설적인 성인으로 추앙받는 3명의 제왕이 있다. 요‧순‧우가 그들인데 그들의 업적은 모두 하늘과 땅에 관한 일이다. 요 임금은 ‘희화씨’라는 천문 관측 관원과 기관을 설치했고, 순 임금은 ‘선기옥형(혼천의)’라는 천문기구를 창안하여 완벽한 천문 역법을 정비하고 백성들에게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었다. 우 임금은 잦은 홍수로 황폐해진 중원지역의 치수에 성공함으로써 천하를 평정하는 위업을 달성했다. 결국 중국의 전설적인 세 성군 요‧..

한국(동이)과 중국(화이)(8) : 고인돌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wCTb69hYNFo 9. 고인돌 우리나라는 ‘고인돌의 나라’로 불러도 좋을 만큼 많은 고인돌이 전국에 산재해 있다. 한반도 전역의 고인돌은 북한지역의 황해도 은율과 평양 등 북한에 14,000기 정도가 있고 강화도와 전남 화순, 전북 고창 등지를 중심으로 남한에 약 24,000기가 있다고 알려졌지만 수몰 지구를 발굴하면서 바깥으로 옮겨놓은 고인돌까지 모두 계산하면 남·북한 합쳐서 50,000기 이상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에 산재한 고인돌은 약 80,000기로 추정하는데 거석유물이 많다고 알려진 아일랜드의 경우 고인돌이 1,500기에 지나지 않는다. 아시아에서는 중국 요령지방(고조선 영역)에 316기, 일본 구주(九州) 지방에 600여 ..

한국(동이)과 중국(화이)(7) : 삼재사상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eqduB3Vmhkk 7. 제단과 무덤의 동시성 동이족은 우하량에서 독특한 문화양식의 적석총을 창출했다. 우하량 제2지점에서 3층으로 된 원형의 제단과 사각형의 적석총이 발굴되었다. 제단과 무덤 모두 돌을 쌓아 올린 적석총으로 원형과 방형이 앞뒤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적석총 자체가 대규모 지상 석축 물로 큰 틀에서 정연하게 만들었다. 적석총의 사주(四周)는 층층으로 쌓인 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상부는 넓고 비교적 평탄하게 조성했다. 적석총을 건설될 때부터 제단의 성격을 염두에 둔 것이다. ② 적석총의 전면(남면)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 홍색 소토(燒土)가 발견된다. 때로는 적석총의..

한국(동이)과 중국(화이)(6) : 적석총

https://youtu.be/LD6urxLUd54 youtu.be/pKyE2SFh5Lw 5. 마늘과 쑥 단군신화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단군 신화를 보면 우리 선조들이 고대 국가를 건설할 무렵부터 농사를 지으려고 천문 기상을 살피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이나 질병ㆍ의료와 같은 일을 맡는 사람들이 있었으며 아울러 쑥과 마늘을 일찍부터 유효한 약물이나 먹을거리로 사용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쑥은 아시아ㆍ유럽ㆍ북미 지역에 야생하는 다년초로 먹을거리로 쓰이는 것 외에도 옛날부터 약재로 복통ㆍ해독ㆍ발한ㆍ해열ㆍ지열과 같은 증상에 효과가 있다고 했다. 오늘날에도 쑥은 한방에서 뜸을 뜨는 데 사용한다. 마늘은 서아시아 지방이 원산지로 이것을 으깰 때 생기는 알리신은 강한 항균력을 갖고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