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79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62) 석굴암(12)

https://youtu.be/NTmgJK3JzX4 석굴암은 여러 번 반전에 반전을 일으키고 있는데 2017년 또 다시 전실 유무 문제로 학계를 들썩거리게 했다.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 교수가 1891년 석굴암 중수 공사의 상량문인 「석굴암 석굴 중수상동문(重修上棟文) 연구」에서 ‘석굴암 원래 모습엔 지금의 목조 전실 없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석굴암 중수 공사를 기록한 상량문을 정밀하게 분석한 것으로 그는 상량문을 볼 때 중수 공사 전에는 목조전실(木造前室) 등 목구조물이 없었다는 내용이다. 그동안 목조전실의 유무는 석굴암 원형 논쟁의 핵심인데 다시금 목조건물이 없었다는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최교수는 석굴암 목조 전실은 원래 없었음에도 1891년 중수 때 새로 덮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즉 당시 중수 공..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61) 석굴암(11)

https://youtu.be/NTmgJK3JzX4 석굴암 전면에 목조건물의 설치가 최선은 아니어도 최악은 아니라는 설명은 전실이 존재하지 않은 즉 ‘개방구조’일 때의 피해를 생각해보라고 반문한다. 주실 벽면에 있는 감실(龕室)은 올빼미나 쥐들이 둥지를 틀고 새끼치기에 알맞은 구조인 것을 감안하면 신라시대에 적어도 전실의 지붕과 전면에 문은 있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일제강점기 때 주실 위부터 통째로 시멘트를 1미터 이상 발라놓은 상태에서 목조존실과 돔 등은 당시 학계의 연구 수준과 기술을 가지고 최선을 다한 것으로 이전보다는 석굴 내부가 훨씬 안정적이라는 사실만큼은 인정해야 한다는 말이다. 팔부신중이 절곡형이냐 전개형이냐도 철저하게 반박한다. 한마디로 절곡형은 석굴암 본래의 건축적 구성 원리에 어긋나기..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60) 석굴암(10)

https://youtu.be/NTmgJK3JzX4 보수공사 때마다 첨단 기술을 사용했음에도 습기 문제조차 해결하지 못했으므로 석굴암의 훼손 상태가 날로 심화되고 있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학자들은 석굴암의 훼손은 보수할 당시부터 이미 예고된 일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오늘날의 석굴암은 당초에 건설되었던 석굴암과 구조가 크게 달라졌기 때문에 즉 석굴암의 본래 모습대로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생기게 된 필연의 결과라는 뜻이다. 석굴암은 원래 일반 건물과 같이 주벽은 직경 10센티미터 정도의 자갈들로 채워졌는데 그 두께는 1.2미터 또는 1.5미터 정도였다. 즉 이 자갈층이 바로 석굴암의 습도를 조절하는 자동제습장치였다는 것이다. 차고 더운 외부의 공기는 자갈층을 통과하면서 ..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59) 석굴암(9)

https://youtu.be/NTmgJK3JzX4 김동현 박사는 곧바로 ‘내부 돔의 균열은 이미 1963년 석굴암 중수 당시에도 발견했으나 심각한 상태가 아니므로 지나쳤다’고 곧바로 반격했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에 앞서 실시한 안전진단에서도 석굴암의 안전성에는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부언했다. 이 설명은 문제의 균열이 외부돔 설치 이전 일제강점기 때 설치한 내부돔이 흙으로 덮여 있을 때 수분 침투와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모르타르층이 분리된 결과라는 것이다. 또한 균열 지점의 양쪽 부위가 부등(不等)침하현상을 보이지 않으므로 내부에까지 이어졌다고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므로 의 석굴암 보수 공사는 큰 틀에서 콘크리트 내·외부 돔의 누수부분과 목조전실을 설치했다는 설..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58) 석굴암(8)

https://youtu.be/NTmgJK3JzX4 석굴암의 본존불을 어느 돌로 사용했느냐에 대한 결론은 간단하게 도출되었다.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교수였던 이대성 교수는 석굴암의 석재는 바로 현장에서 채굴한 돌을 사용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당시의 작업 여건과 석재의 운반 등을 고려할 때 현장 이외의 장소에서 석재를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석굴암의 석재는 홍색장석화강암으로 석굴암 터에서 암석을 채취한 흔적도 발견되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석굴암의 화강석 재료는 화강석 자체만 볼 때 매우 거칠어 상질의 재료는 아니라고 설명한다. 재료가 다소 거칠다는 것은 석굴암이 현재의 토함산 자리에 세워지지 않으면 안 되었음을 보여준다. 경상대학교의 좌용주 교수는 전암 대자율(whole-rock magnet..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57) 석굴암(7)

https://youtu.be/NTmgJK3JzX4 석굴암은 설계뿐만 아니라 시공 면에서도 탁월한 재능을 보여주지 않으면 건설될 수 없는 걸작이다. 김형자 교수는 석굴암이 10분의 1 비율로 건축되었다고 설명했다. 이 비율은 기원전 25년 헬레니즘 사상가이자 건축가인 비트루비우스가 주창한 ‘균제비례(Symmetry)’와 유사하다. 그는 ‘건축미는 건물 각 부의 치수관계가 올바른 균제비례를 이룰 때 얻어진다’고 강조했다. 균제비례는 인체에서 얻어진 것이며 인체에서 가장 아름다움과 안정감을 주는 비율이다. 석굴암 본전 불상도 이런 균제비례가 적용되어 빼어난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다. 석굴암 본존불은 얼굴과 가슴 어깨 무릎의 비율이 1:2:3:4 의 비율로 되어 있어 본존불상 자체를 1로 봤을 때 10분의 1인..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 (56) 석굴암(6)

https://youtu.be/NTmgJK3JzX4 신라 불교의 정수라 볼 수 있는 석굴암은 고려 건국 이후 그 존재감이 약해졌지만 지역에서 전혀 잊혀진 것은 아니다. 석굴암이 갖고 있는 위상 때문으로 볼 수 있는데 17세기〜18세기 정시한의 『산중일기』, 정선의 『교남명승첩』등의 기록을 보면 어느 정도 석굴암의 존재가 나름대로 알려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산중일기』에 전주에서 불국사와 석굴을 보러 오는 사람이 있다고 적혔는데 이는 석굴암이 당시에도 전국적으로 알려졌고 참배객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석굴암이 조선조에 여러 차례에 걸쳐 수리와 보수가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다. 『불국사고금창기』에 의하면 숙종 29년(1703)에 종열(從悅), 영조 34년(1758)에는 대겸(大謙)이 석굴암을 중..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55) 석굴암(5)

https://youtu.be/NTmgJK3JzX4 ⑥ 대범천(大梵天)과 제석천(帝釋天) 본존불을 둘러싼 4주에는 본존불 바로 뒤의 십일면관음보살을 중심으로 각각 좌우에 7구씩 입상이 새겨져 있다. 그 중 입구에 있는 첫 상은 본존불을 향하여 오른편의 것이 하늘의 왕인 대범천과 제석천이다. 이 두 천은 『법화경』을 비롯한 모든 대승경전에서 가장 빈번히 언급되는 신화적 존재인 불제자들이지만 이들은 우리나라 불교조각에서 그리 흔한 존상은 아니다. 대범천은 욕계(欲界)를 벗어난 색계(色界) 제일의 단계에 위치하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이며, 제석천은 사왕천 다음의 높이에 위치하는 33천의 천왕이다. 대범천의 조상은 그와 한 쌍을 이루는 제석천과 똑같은 양식의 두광, 즉 연주(連珠)로 엮어진 도란형(倒卵形,..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54) 석굴암(4)

https://youtu.be/NTmgJK3JzX4 성낙주 박사는 이 문제에 관한 한 단호하다. 석굴암 전면에 지붕이 있는 전각이 있었으므로 아침 햇살이 직접 본존불을 비추는 광경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그의 주장은 이런 내용이 일제 강점기 때 태어났다며 이런 이야기가 태어나게 된 전말을 제시했다. 한국의 문화유산에 큰 영향을 미친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 즉 유종열이 총독부의 보수공사가 1915년에 끝난 후 1년이 지나 1916년 석굴암을 방문하면서 감명받은 후 1919년 「석불사 조각에 대하여」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1916년 9월 1일 오전 6시 반, 화창한 태양빛이 바다를 건너 굴원(窟院)의 불타 얼굴에 닿았을 때 나는 그의 곁에 섰다. 그것은 지금도 잊을 수 없는 행복한 순간의..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53) 석굴암(3)

https://youtu.be/NTmgJK3JzX4 ① 팔부신중(八部神衆) 전실에 들어서서 좌우 양벽에 각각 4구의 상이 있는데, 그것을 팔부신중 혹은 천룡팔부(天龍八部)라고 부른다. 이들은 가상 동물로 원래는 인도의 힘 있는 신들이었지만 석가의 교화를 받아 불교를 수호하는 신들이 되었다. 현재의 조상에 나타난 각 상이 천룡팔부의 어느 상을 나타내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현재 석굴암에 배열된 팔부신중의 순서가 일반적으로 각 경전에서 열거되는 것과 같은 순서는 아니라는데 동조한다. 학자들은 대체로 부처를 향해 우측으로 첫 번째부터 가루라(迦樓羅), 건달바(乾闥婆), 천(天), 마후라가(摩喉羅伽)이며, 본존불을 향하여 좌측으로 입구에서부터 아수라(阿修羅)·긴나라(緊那羅)·야차(夜叉)·용(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