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79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22) 남산지구(동남산(2))

동남산의 서쪽을 답사한 후 되돌아 나와 통일전의 동쪽을 향하는데 중앙에 위치한 통일전을 들어가 본다. 통일전은 삼국통일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열왕, 문무왕, 김유신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건물로 무열왕, 문무왕의 영정은 김기창 화백, 김유신 장군의 영정은 장우성 화백이 그렸다. 세 사람의 사적비와 삼국통일기념비가 세워져 있고, 삼국통일의 역사를 그림으로 표현한 기록화 17점이 줄지어 전시되어 있는데 교과서에서 배우지 않는 내용들도 많으므로 시간을 쪼개어 볼 만하다. 통일전에서 몇 걸음 걸으면 화랑대교육원이 나오는데 이곳에 경주남산동석조감실(지방문화재자료 제6호)가 있다. 이 감실의 크기는 높이 2.5미터, 내부공간의 바닥 길이 1미터, 높이 1.4미터, 깊이 0.9미터다. 남향으로 다듬지 않은 장대석으로..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21) 남산지구(동남산(1))

서남산과 남남산을 주파하면 소위 매를 먼저 맞은 셈이므로 다음 길이 경쾌하지 않을 수 없다. 남산의 동쪽을 의미하는 동남산은 통일전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지는데 먼저 좌측을 향한다. 동남산 좌측으로는 서출지(사적 제138호), 남산리삼층석탑(보물 제124호), 염불사터(사적 제311호), 국보 제312호인 칠불암마애불상군, 보물 제199호인 신선암마애보살상 등이 기다린다. 통일전 바로 옆에 있는 연못이 유명한 서출지(書出池)다. 서출지는 이름 그대로 글이 나온 연못이다. 소지왕 10년(488) 궁 밖으로 거동하니 쥐가 나타나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라’고 했다. 왕이 그 말대로 따라가 이 연못에 이르자 연못 속에서 한 노인이 봉투를 주었는데 그곳에는 ‘거문고 갑을 쏘시오’라고 써 있었다. ..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20) 남산지구(남남산II)

고위산에서 천룡사지를 향하는 길은 하산길이지만 다소 가팔라 주의가 필요한데 중도 곳곳에서 금오봉, 용장사지3층석탑, 연화대, 비석대, 이영재 등을 멀리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장관 중에 장관인데 유명한 전설이 깃든 분암(糞岩, 똥바위)도 보인다. 장마 때에는 바위 틈으로 물이 흘러 내리므로 뇨암(尿岩)이라고도 하는데 안내판에 적힌 내용을 보자. ‘신라시대 각간에게 곱고 아름다운 외동딸이 있었는데 그녀에게 수많은 남자들이 눈독을 들었지만 그녀는 시끄럽고 어지러운 속세를 떠나 불교에 귀의하겠다며 몰래 집을 나서 열반골로 들어갔다. 그녀는 평평한 바위인 경의암에서 금빛으로 수놓은 비단옷을 벗고 잿빛 먹물 옷으로 갈아입고 골짜기로 들어갔다. 그러나 그녀의 향기를 맡고 수많은 맹수들 형상을 한 큰 바위들이 길을 ..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19) 남산지구(남남산I)

제2구역 남남산 지역은 남산 답사에서 가장 어려운 구역 중의 하나다. 답사지 자체는 남산 열암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13호), 남산 침식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12호), 천룡사지 삼층석탑(보물 제1188호), 백운대 마애석불입상(지방유형문화재 제206호) 등 4곳에 지나지 않지만 산행을 기본으로 해야 하는데다 남산 여타 지역처럼 답사할 곳이 밀집해 있는 것이 아니라 분산되어 있으므로 소요시간도 만만치 않다. 또한 오지 중 오지에 있으므로 한마디로 답사에 이력이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길을 잘못들 경우가 많아 정확하게 찾아가는 것이 만만한 일이 아니다. 특히 수풀이 울창할 때 부정확한 지도를 갖고 이정표로 찾아가려면 큰 코 다치기 십상이다. 정확한 산행 정보를 갖고 답사에 도전하든가 그렇지 ..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18) : 남산지구 서남산(VII)

삼릉계곡선각여래좌상에서 약 500미터 되는 지점에 또 하나의 선각예술품이 있는데 삼릉계곡선각육존불(지방유형문화재 제21호)이다. 앞뒤의 바위에 윤곽을 파서 여섯 분의 불보살상을 새긴 것인데 최준식 박사는 이 육존불상이야말로 한 폭의 그림이라고 설명했다. 최 박사가 이것을 그림이라고 한 이유는 제작하는 과정에서 밑그림을 그린 다음 선을 따라 판 것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뒤쪽 바위는 높이 4미터 폭 7미터 정도로 바위면 가운데 본존은 오른 어깨에만 법의를 걸치고 연꽃대좌에 앉아 있다. 머리둘레에 두광(頭光)만 새기고 몸둘레의 신광(身光)은 새기지 않았으며 왼손은 무릎에 얹고 오른손을 들어 올린 모습으로 높이는 2.4미터이다. 그 좌우에는 연꽃 대좌에 두광만 조각되고 방울 3개를 꿰어 만든 목걸이를 한 2.6..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17) 남산지구 서남산(VI)

금오봉에서 통일전, 포석정, 칠불암, 삼릉골 또는 용장골로 되돌아갈 수 있는데 여기서는 삼릉골로 향하는 길을 잡는다. 금오봉에서 삼릉골까지의 길은 부드러운 능선길로 발걸음을 가볍게 하는데 ‘기도를 하면 아기를 낳게 된다’고 알려지는 상선암이 나타난다. 상선암은 남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암자인데 상선암 못 미쳐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58호)이 나타난다. 마애석가여래좌상은 남산의 북쪽 금오봉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리다가 작은 봉우리를 형성한 바둑바위가 남쪽 중턱에 위치한다. 이곳에서 바둑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지만 한국인들은 바둑을 두는 풍치도 다소 달랐다. 계곡이나 산중의 경치 좋은 암석 위에 바둑판을 그려놓고 풍류를 즐기기도 했는데 이러한 돌바둑판을 석국(石局)이라고 한다. 석국..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 (16) : 남산지구 서남산(V)

남산신성을 답사에 포함하든 아니든 포석정을 지나 남산지구 문화유산의 백미라고 볼 수 있는 용장마을에서 삼릉계곡으로 내려오는 대장정 등산로를 도전한다. 남산의 계곡이 40여 개소이며 등산로는 60여 곳이나 된다고 알려지는데 용장마을부터 등산로를 잡은 이유는 김시습 유적지를 비롯하여 용장사지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 경주남산용장사곡석불좌상(보물 187호), 경주남산용장사곡삼층석탑(보물 186호)은 물론 남산의 절경 등을 맛 볼 수 있으며 이어서 금오산에 오르면 원하는 다음 답사지를 마음껏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만진 선생은 용장마을로 올라가면 두 가지 잇점이 있다고 설명한다. 첫째는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의 작가 김시습이 용장골에 놓았다는 설잠교를 건널 수 있다. 설잠(雪岑)은 말년..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15) : 남산지구 서남산(IV)

포석정과 지마왕릉 사이로 산행도로가 있는데 이곳에서 ‘경주 배리윤을곡마애불좌상(拜里潤乙谷磨崖佛坐像, 지방유형문화재 제195호)’과 남산신성을 답사할 수 있다. 이들은 창림사지3층석탑에서도 접근이 가능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이곳에서는 포석정과 지마왕릉 중간의 산행도로를 취한다. 산행도로는 매우 잘 정돈되어 있어 오히려 산행하는 맛이 나지 않는다고 불평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런 불평도 잠시 좌측으로 조그마한 못이 나온다. 특징적이지 않은 조그마한 못인데 굳이 보아야 할 이유가 있느냐 질문하지만 이곳이 바로 포석정에 물을 공급했던 안골샘못다. 못 자체는 크지 않지만 포석정과 연계하면 신라의 마지막을 장식하던 곳이므로 조용한 모습이 오히려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다. 이곳에서 계속 다소 지루한 길을..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14) : 남산지구 서남산(III)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우유의 살균법으로 설명하자면, 우유 속에 있는 유해균이 온도 A에서 시간 T분 동안 노출되면 전멸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고 하자. 그럴 경우 원형 용기 전 표면을 통해 온도 A+α 이상의 열기를 골고루 주었을 때 어느 지점에 있는 우유가 가장 늦게 온도 A에 이르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지점에 있는 우유의 온도가 T0분 만에 온도 A가 된다는 것을 알아내면 T+T0분 동안 열기를 주면 되기 때문이다. 이때 정확한 유체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은 열기가 투입된 직후의 유체 흐름으로 정상 상태의 회전을 보여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용기 안의 유체는 자연 대류 현상을 일으켜 와 같은 흐름으로 변형된다. 즉, 우측 하단부에 주 흐름과는 반대되는 작은 흐름이 나타나고 ..

경주역사유적지구 답사(13) : 남산지구 서남산(II)

배리삼릉은 경애왕릉에서 북쪽을 응시하면 소나무 사이로 보인다. 삼릉은 8대 아달라왕(재위 154∼184년), 52대 신덕왕(912∼917), 53대 경명왕(917∼924)이 그 주인공들이다. 그런데 이들은 모두 박씨다. 또한 삼릉과 포석정 사이의 6대 지마왕, 장창골에 있는 일성왕도 박씨다. 시조인 박혁거세도 이곳 나정에서 출생했다. 선도산 일대가 김춘추 일가의 산소였듯이 남산 서쪽 일원은 박씨들의 터전으로 볼 수 있다. 삼릉에 묻힌 아달라왕은 154년부터 184년까지 30년을 재위했는데 안내판은 아달라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아달라왕은 백제가 침입하여 백성을 잡아가자 친히 군사를 출동하여 전장에 나아갔다. 그러나 백제가 화친을 요청하자 포로들을 석방하였다. 왜에서는 사신을 보내왔다. 능의 크기..